주파수 응답 곡선(Frequency response Curve)

주파수에 따라 소리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나타내는 그래프
X축에 주파수(frequency), Y축에 db
주파수 응답이 중요한 이유
유튜브 녹음 시, 낮은 주파수는 피해야 한다. 책상을 두드리는 소리와 같은 진동이 쉽게 마이크에 잡히기 때문이다. 특히나 라이브 방송 중에는 EQ 필터 사용이 어려우므로, 평탄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 덜 반응하는 것이 좋다.
악기를 녹음할 때에는 평탄한 주파수가 오히려 더 좋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반응이 좋으면 악기나 음성 녹음이 깨끗하게 된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반응이 낮으면 방 안의 소음이나 진동 등이 감소한다.
대표적인 주파수 응답 곡선
콘덴서마이크는 주로 평탄하며, 다이나믹마이크는 굴곡이 있다.
로데의 NT1-A는 콘덴서마이크이고 대체적으로 평탄한 그래프를 가진다.
주파수 응답곡선은 3kHz 주변에서 반응이 약간 좋다.
사람 목소리에 더 좋게 반응하기 위해서이다.

주파수 응답 측정
아래 링크를 참조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마이크의 주파수 응답 측정이 가능하다.
까다로운 조건하에 측정하여야 하나 대체방안을 보여준다.
https://www.theseasonedpodcaster.com/how-to-guides/how-to-test-microphone-frequency-response/
How to Test Microphone Frequency Response | TSP
Affiliate Disclosure: The Seasoned Podcaster is supported by its readers. As an Amazon Associate we earn from qualifying purchases when you use one of our links. Please assume all links on this page are affiliate links. Your support is hugely appreciated.
www.theseasonedpodcaster.com
간단하게 말하면, 주파수가 평탄한 스피커가 필요하다.
REW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며, 핑크노이즈를 재생하여 측정한다.
REW의 기본적인 사용방법은 아래의 유튜브 링크를 통해 알 수 있다.
위 동영상에서는 스피커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고 있으나, 기본적인 방법을 알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