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글 애널리틱스 6 - 카페24 쇼핑몰 테스트 (GA4 사용) 전체 흐름 애널리틱스 접속 계정 및 속성 생성 데이터 스트림 추가 구글태그매니저 연결 태그 생성 카페24 쇼핑몰 태그 설치 데이터 수집 확인 01 GA4 계정 / 속성 / 데이터 스트림 만들기 1. 구글애널리틱스 홈페이지 접속합니다. (https://analytics.google.com/) 1) 화면 하단 관리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다음 화면에서 계정만들기를 선택합니다. 2. 새로운 계정 및 속성정보를 입력합니다. 1) 계정이름을 입력합니다. 2)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속성이름을 입력합니다. 4) 시간대와 통화를 선택합니다. 5) 비지니스 정보를 입력합니다. 3. 데이터 스트림을 추가합니다. 1) 속성의 데이터 스트림 선택 2) 데이터 스트림 추가 클릭 후 웹 선택 3) 웹사이트 URL 입.. 구글 애널리틱스 5 - 목표설정 1 목표 설정 1-1 목표설정 방법 방문자가 여러 페이지를 둘러보고 나갔다면 그 사이트가 유용한 정보 혹은 사용자가 찾는 제품들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션당 조회수 혹은 페이지 수를 목표로 정하면 일정기간 후 얼마나 목표를 달성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세션이란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로 보고 측정된 것을 말한다. 거기에 더해 페이지에 머문 시간이 길다면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목표설정이라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1. 관리 - 보기 - 목표설정 선택합니다. 템플릿과 맞춤목표 중에서 맞품목표를 선택합니다. 아래의 4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도착: 특정 URL에 도착한 경우 2) 시간: 페이지에 머문 시간 3) 세션당 페이지수: 방.. 구글 애널리틱스 4 - 보기 필터 설정하기 1 보기 필터 1-1 보기 필터 사용이유 데이터 선별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불필요한 데이터의 수집을 차단하여 품질이 높은 원재료를 모으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만, 아래처럼 보기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Raw data View는 모든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필터를 한 번 적용하면 이전으로 되돌릴 수 없으므로 아무 작업도 하지 않습니다. 2. Test view에는 사내 트래픽을 차단하는 필터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사내 트래픽 데이터를 처음부터 수집하지 않습니다. 3. Mater view에서는 테스트 뷰에서 의도한 대로 데이터가 쌓이면 최종적으로 적용합니다. 마스터 뷰에서는 최종적으로 검증되고 테스트된 필터를 적용합니다. 위 처럼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기가 있고, 선별적으로 데이터를 .. 구글 애널리틱스 3 - 서치콘솔 연동 및 사이트맵 등록 1 서치콘솔 1-1 서치콘솔 사용이유 구글은 사용자가 어떤 키워드를 통해 사이트로 유입이 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구글을 통해 유입된 경우 검색어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보고서 - 획득 - 캠페인 - 자연키워드 선택합니다. 위의 키워드는 모두 다음을 통해 유입된 정보입니다. 구글을 통해 유입되면 (not provided) 로 표시되며, 유입 키워드 정보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구글 서치콘솔을 사용합니다. 서치콘솔은 구글검색을 통해 사이트에 방문한 사람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1-2 서치콘솔 연결방법 1 보고서 - 회득 - search console - 키워드 선택합니다. 2 데이터 공유설정을 클릭하면 아래의 속성 설정화면으로 이동합니다. 화면에 하단에 있는 se.. 구글 애널리틱스 2 - 데모계정 1 데모계정 추가 GA 사용을 위해서는 충분한 데이터가 있는 사이트 필요하나 대부분은 그런 사이트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구글이 운영 중인 머천다이즈 스토어를 통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 데모계정 연결 구글애널리틱스의 탐색을 클릭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애널리틱스 데모계정을 선택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아래로 내리다 보면 데모계정을 연결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이 나옵니다. 그 중에서 유니버셜을 선택합니다. 계정이 연결되면 아래의 메인 화면이 자동으로 나옵니다. 1 Master View라는 계정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정을 클릭하면 속성과 보기 확인이 가능하며, 보기는 아래의 3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mater view 실제 분석을 위한 보기입니다. 2 test vi.. 구글 애널리틱스 1 - 계정생성 및 추적코드 심기 1 GA 계정 만들기 1-1 계정생성 계정이름 입력합니다. 1-2 속성설정 기존 버전인 유니버셜을 대부분의 기업이 사용 2023년 7월부터 유니버셜을 통해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으니, GA4에 대한 대비가 있으면 좋음 아래의 고급옵션 보기를 클릭 2023년 7월부터 기존 버전이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다고 함. 기존에 대부분 유니버셜을 사용하므로 2가지를 모두 생성 1-3 비즈니스 정보설정 간단하게 입력 후 계정 생성완료 1-4 계정 / 속성 생성 및 삭제 메인화면 [관리]를 클릭하여 계정 혹은 생성을 생성하거나 휴지통으로 이동 가능 2 추적코드 심기 2-1 추적코드 확인 [유니버셜 버전] 관리 > 속성부분 > 추적정보 > 추적코드 클릭 아래의 화면에서 추적ID와 범용사이트 태그를 확인 추적ID는 티스토리 .. 마이크 반응 곡선과 기본적인 REW 사용 - 파트1 주파수 응답 곡선(Frequency response Curve) 주파수에 따라 소리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나타내는 그래프 X축에 주파수(frequency), Y축에 db   주파수 응답이 중요한 이유 유튜브 녹음 시, 낮은 주파수는 피해야 한다. 책상을 두드리는 소리와 같은 진동이 쉽게 마이크에 잡히기 때문이다. 특히나 라이브 방송 중에는 EQ 필터 사용이 어려우므로, 평탄한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 덜 반응하는 것이 좋다. 악기를 녹음할 때에는 평탄한 주파수가 오히려 더 좋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반응이 좋으면 악기나 음성 녹음이 깨끗하게 된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반응이 낮으면 방 안의 소음이나 진동 등이 감소한다.   대표적인 주파수 응답 곡선 콘덴서마이크는 주로 평탄하며, 다.. 이전 1 다음